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 방법

by 유머 스틱 2021. 1. 5.
반응형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신고 안내

매년 1월은 부가가치세 신고가 있는 달입니다(2월 25일 까지 신고 납부하여야합니다 1개월 연장)

부가가치세는 사업관련 매출 및 매입을 신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후 5월 종합소득세 신고의 기초가 되기때문에 누락없이 꼼꼼하게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가가치세신고 대상자

부가가치세 신고대상자는 면세사업자를 제외한 모든 사업자(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입니다.

1 일반과세사업자

2 간이과세사업자

부가가치세신고 기간

일반과세자의 경우 반기 신고를 하고, 홀수분기(1분기, 3분기)에는 예정납부를 하게 됩니다.

간이과세자의 경우 1년에 1회 신고를 합니다.

1 일반과세자

1. 1분기 : 4월 25일까지 고지납부(예정고지)

2. 2분기(1-6월) : 7월 25일까지 신고·납부

3. 3분기 : 7월 25일까지 고지납부(예정고지)

4. 4분기(7-12월) : 다음해 1월 25일 까지 신고·납부 

간이과세자

1월 25일까지 신고·납부

부가가치세신고 준비서류

사업자등록증

대표자신분증

홈택스 아이디/비번

종이세금계산서

카드매출내역(밴, 포스기)

소셜커머스, 오픈마켓 매출내역

신용카드사용내역

업종별 추가준비서류

소셜커머스, 오픈마켓 매출내역(통신판매업)

배달앱 매출내역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음식점업)

수출신고필증, 수입신고필증, 인보이스, 수출계약서, 수입계약서, 수입정산서, 내국신용장(수출업)

구매대행 수수료 정산내역(구매대행업)(영수증 필 지참)

소규모 일반과세사업자 부가가치세 감면

7월~12월 까지의 공급가액(부가세제외한 매출액)이 4천만원 이하일 경우 일반과세자의 경우에도 간이과세자 수준의 부가가치세금액 만큼 감면 받을 수 있습니다.

※ 감면배제업종

과세유흥장소, 부동산입대업, 부동산매매업

간이과세자 범위 확대

기존에는 공급대가(VAT포함한 매출)가 4800만원 미만인 경우 간이과세자에 해당하였으나 2021년 부터 공급대가 8천만원 미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부가가치세 납부면제대상도 공급대가 3천만원에서 4800만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부가가치세(부가세)는 한 해에 2회 납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는 개인사업자 일반과세자 기준이다. 법인사업자는 1년에 총 4회를 신고하게 됩니다.

일반과세자: 제1기 확정 신고, 제2기 확정 신고

간이과세자: 매년 1월 1일~1월 25일

법인사업자: 제1기 확정·예정, 제2기 확정·예정

올해는 코로나19로 직접 피해를 받은 사업자와 특별재난지역에 사업장이 소재한 사업자들은 8월 27일까지 부가세 신고기간을 연장해 주었습니다.

댓글